loading
본문 바로가기
경제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만기금액, 일시납입 계산하기

by smartJJ 2024. 6. 25.
목차

1.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2. 만기금액 계산하기
   2-1. 정부지원금 매칭 비율
   2-2.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2.3.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2.4. 총 급여 4,8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2.5.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2.6.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3.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최고 6% 금리에 정부의 매칭지원금까지 받는 청년도약계좌!! 최대 70만 원까지 원하는 금액을 원하는 시기에 낼 수 있고 중간에 납입하지 않아도 계좌는 유지되어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청년을 위한 혜택!!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 알아보기

 

 

요즘같이 금리가 좋지 않은 시대에 정말 슬기로운 금융선택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가입 조건과 일정을 빨리 확인하시고 가입하실 분들은 아래에 방문하셔서 큰 혜택을 놓치치 마시기 바랍니다.

 

 

 

 

1. 더 좋아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가 더 좋아졌습니다. 어떻게 좋아졌는지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요건이 완화되어 작년에는 신청할 수 없던 청년들도 더 많이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가구소득 요건완화

가구소득 중위 180%에서 250% 이하로 개선

가구소득 요건은 3월 가입신청 기간 (2월 22일~3월 8일)에 신청한 청년부터 적용됩니다.

 

2) 중도해지 시 지원 강화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에도 혜택 적용

비과세를 적용하고 정부기여금도 매칭비율의 60% 수준으로 지급하도록 추진

 

3) 특별중도해지 사유 추가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 출산 추가

청년도약계좌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과 출산이 추가되어 이 사유에 해당하여 특별중도해지를 하는 경우 비과세 적용 및 정부기여금 지급

 

4) 병역이행 청년 가입 지원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도 가입 가능

소득기준연도(전전 연도 혹은 직전 연도)에 군복무 이력이 확인되는 청년은 3월 25일부터 가입신청 가능

 

 

2. 만기금액 계산하기

2.1 정부지원금 매칭 비율

개인소득기준 지급한도 매칭비율 한도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40만원 6.0% 24,000원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000원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200원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000원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 -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개인소득기준과 월 납입금에 따라서 매칭비율과 한도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여러분께서 알아보시기 쉽도록 각각에 해당하는 만기 시 총 수령액과 기여금와 이자로 인해 발생한 총수익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가입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2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월납입금 총납입액 정부기여금 원금+기여금 은행이자 기여금이자 총수령액 총수익
100,000 6,000,000 360,000 6,360,000 915,000 41,175 7,316,175 1,316,175
200,000 12,000,000 720,000 12,720,000 1,830,000 82,350 14,632,350 2,632,350
300,000 18,000,000 1,080,000 19,080,000 2,745,000 123,525 21,948,525 3,948,525
400,000 24,000,000 1,440,000 25,440,000 3,660,000 164,700 29,264,700 5,264,700
500,000 30,000,000 1,440,000 31,440,000 4,575,000 164,700 36,179,700 6,179,700
600,000 36,000,000 1,440,000 37,440,000 5,490,000 164,700 43,094,700 7,094,700
700,000 42,000,000 1,440,000 43,440,000 6,405,000 164,700 50,009,700 8,009,700

 

 

2.3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월납입금 총납입액 정부기여금 원금+기여금 은행이자 기여금이자 총수령액 총수익
100,000 6,000,000 276,000 6,276,000 915,000 31,568 7,222,568 1,222,568
200,000 12,000,000 552,000 12,552,000 1,830,000 63,135 14,445,135 2,445,135
300,000 18,000,000 828,000 18,828,000 2,745,000 94,703 21,667,703 3,667,703
400,000 24,000,000 1,104,000 25,104,000 3,660,000 126,270 28,890,270 4,890,270
500,000 30,000,000 1,380,000 31,380,000 4,575,000 157,838 36,112,838 6,112,838
600,000 36,000,000 1,380,000 37,380,000 5,490,000 157,838 43,027,838 7,027,838
700,000 42,000,000 1,380,000 43,380,000 6,405,000 157,838 49,942,838 7,942,838

 

 

2.4 총 급여 4,8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월납입금 총납입액 정부기여금 원금+기여금 은행이자 기여금이자 총수령액 총수익
100,000 6,000,000 222,000 6,222,000 915,000 25,391 7,162,391 1,162,391
200,000 12,000,000 444,000 12,444,000 1,830,000 50,783 14,324,783 2,324,783
300,000 18,000,000 666,000 18,666,000 2,745,000 76,174 21,487,174 3,487,174
400,000 24,000,000 888,000 24,888,000 3,660,000 101,565 28,649,565 4,649,565
500,000 30,000,000 1,110,000 31,110,000 4,575,000 126,956 35,811,956 5,811,956
600,000 36,000,000 1,332,000 37,332,000 5,490,000 152,348 42,974,348 6,974,348
700,000 42,000,000 1,332,000 43,320,000 6,405,000 150,975 49,875,975 7,875,975

 

 

2.5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월납입금 총납입액 정부기여금 원금+기여금 은행이자 기여금이자 총수령액 총수익
100,000 6,000,000 180,000 6180000 915,000 20,588 7,115,588 1,115,588
200,000 12,000,000 360,000 12360000 1,830,000 41,175 14,231,175 2,231,175
300,000 18,000,000 540,000 18540000 2,745,000 61,763 21,346,763 3,346,763
400,000 24,000,000 720,000 24720000 3,660,000 82,350 28,462,350 4,462,350
500,000 30,000,000 900,000 30900000 4,575,000 102,938 35,577,938 5,577,938
600,000 36,000,000 1,080,000 37080000 5,490,000 123,525 42,693,525 6,693,525
700,000 42,000,000 1,260,000 43260000 6,405,000 144,113 49,809,113 7,809,113

 

 

2.6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만기 수령액

월납입금 총납입액 정부기여금 원금+기여금 은행이자 기여금이자 총수령액 총수익
100,000 6,000,000 - 6,000,000 915,000 - 6,915,000 915,000
200,000 12,000,000 - 12,000,000 1,830,000 - 13,830,000 1,830,000
300,000 18,000,000 - 18,000,000 2,745,000 - 20,745,000 2,745,000
400,000 24,000,000 - 24,000,000 3,660,000 - 27,660,000 3,660,000
500,000 30,000,000 - 30,000,000 4,575,000 - 34,575,000 4,575,000
600,000 36,000,000 - 36,000,000 5,490,000 - 41,490,000 5,490,000
700,000 42,000,000 - 42,000,000 6,405,000 - 48,405,000 6,405,000

 

 

3.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 자격 : 청년희망적금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이면서 동시에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한 청년
  • 금액 : 최소 200만 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으로 받은 금액까지 납입 가능
  • 가입자가 선택하는 '월 설정금액'으로 매월 전환납입된다고 간주함
  • 월 설정금액은 40, 50, 60, 70만 원 중 하나를 선택 - 청년도약계좌 개설 이후 변경 불가

일시납입 예)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1,311만 원(원금+이자+저축장려금) 수령예정이며 이를 최대금액으로 하면

  •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에 해당하여 월 40만 원을 설정금액으로 하였을 때
    40만 원 * (전환기간) 32개월 해당 = 1,280만 원 일시납입 가능
  • 은행 이자를 최대로 받기 위해 월 70만 원을 설정금액으로 하였을 때
    70만 원 * (전환기간) 18개월 해당 = 1260만 원 일시납입 가능

일시납입금액은 200만 원 이상의 월 설정금액의 배수로 설정하여야 합니다.

즉, 월 설정금액이 40만 원이라면 200만 원, 240만 원,... , 1,240만 원, 1,280만 원 등 40만 원의 배수로 가능하며 월 설정금액이 70만 원이라면 210만 원, 280만 원,... , 1,190만 원, 1260만 원 등 70만 원의 배수로 가능합니다.

 

신규납입은 일시납임금 전환기간이 종료된 이후부터 가능하며, 60개월(5년)에서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을 뺀 기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수령액과 일시납입에 관한 조건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청년기에 열심히 모아서 목돈을 만드는 일이 꼭 필요하지만 쉽지 않기에 가입조건과 일정을 확인하시고 꼭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국민연금 투자 종목 - 포트폴리오

개인이 투자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매일 공부 또 공부하는 자세로 임해도 여기서 쭉 저기서 쭉 예기치 않은 하락이 언제나 절 기다리고 있습니다. 정말 쉽지 않습니다. 투자를 하면서도 항상

smartjj.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