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약저축 종류별 비교
2. 우대이율, 비과세, 소득공제 요건
3.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방법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저축부터 청약, 대출을 연계하여 청년층의 자산 형성과 내 집 마련을 지원하고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출시한 상품입니다.
만약 청년이시라면 이 기회 놓치지 마시고 꼭 가입하셔서 안정된 미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1. 청약저축 종류별 비교
구분 | 주택청약종합저축 | (기존)청년우대형 청약저축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
이자율 | 연 2.0% ~ 2.8% | 연 2.0% ~ 4.3% | 연 2.0% ~ 4.5% |
가입가능연령 | 제한없음 | 만 19세~34세 | 만 19세~34세 |
현역장병 | 가입가능 | 가입불가능 | 가입가능 |
회당 납입한도 | 월 2만원 ~ 50만원 | 월 2만원 ~ 50만원 | 월 2만원 ~ 100만원 |
소득공제 | 가능 | 가능 | 가능 |
비과세 | 해당 없음 | 적용 | 적용 |
중도인출 | 블가능 | 블가능 | 가능 (당첨이후 계약금 납부 목적) |
청약 당첨 후 추가납입 |
불가능 | 불가능 | 가능 |
분양대금 대출연계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청년주택 드림대출 지원 |
이렇게 표로 비교해 보시니까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이 얼마나 많은 혜택을 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제가 청년이 아닌 것이 정말 안타까울 뿐입니다.
좀 더 자세한 자격조건이 궁금하시면 아래를 누르셔서 확인하시고 오시기 바랍니다. 이전 청약저축과 청년우대형 청약저축보다 청년주택드림 청약저축의 가입 자격 조건이 완화되었으니 꼭 확인하시고 오시기 바랍니다.
2. 우대이율, 비과세, 소득공제 요건
구분 | 우대금리 | 비과세 | 소득공제 |
혜택 | 일반 청약통장 대비 1.7% 추가 우대 |
이자소득 비과세 세율 15.4%의 이자소득을 내지 않음 |
연 납입액의 40% 공제 |
한도 | 납입금 5,000만원 한도 10년간 적용 |
비과세 한도 500만원 연 납입금 600만원까지 |
연 납입금 300만원 |
소득 | 근로ᆞ사업ᆞ기타소득 5천만원 이하 |
근로소득 3천6백만원 또는 사업소득 2천6백만원 이하 |
근로소득 7천만원 이하 |
신청여부 | 별도 신청 없음 | 가입 2년 내 신청 필요 | 매년 신청 필요 |
가입 시 | 본인 무주택 | 본인이 세대주이면서 세대원 전체 무주택 |
별도 조건 없음 |
기타 | 무주택 기간만 우대금리 적용 |
가입 후 주택소유해도 비과세 적용 |
해당 과세기간 세대원 전체 무주택 시 적용 |
* 근로소득 3,600만 원 이하로 본인이 세대주 겸 무주택자라면 우대금리, 비과세, 소득공제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가장 많이 들어오는 질문이 무엇인지 궁금하신가요? 아래를 클릭하시면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에 대해 가장 많이 묻는 질문과 그 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방법
청년도약계좌나 청년희망적금 만기에 수령한 목돈을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에 일시납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청년자산형성 프로그램 간 연계성이 강화된 것입니다.
은행명을 클릭하면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는 사이트로 바로 연결됩니다.
어떤 은행은 직접 온라인에서 가입할 수 있고 어떤 은행은 상담 후 영업점을 방문하셔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미리 예약하시고 영업점을 방문하시면 시간을 절약하실 수 있습니다.
안정된 집에서 살고자 하는 마음은 당연한 것이며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청약통장에 가입하여 꾸준히 돈을 모아가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이 기회 꼭 놓치지 말고 잡으시기 바랍니다.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보셨으면 이제 청년주택드림대출에 대해 알아볼까요? 분양가의 80%까지 완전 낮은 금리로 장기간 대출받을 수 있는 '청년주택드림대출' 꼭 확인해보세요.
퇴직 연금 - 숨은 퇴직연금 조회, 신청하기
목차1. 숨은 '퇴직 연금'을 찾아라2. '어카운트인포'에서 퇴직 연금 조회하기 2.1 PC에서 조회하기 2.2 모바일앱 사용하기3.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서 조회하기 4. 미청구 퇴직 연금 신
smartjj.co.kr
가상자산 거래소 예치금 이용료 지급, 거래소별 예치금 이자율
2024년 7월 19일부터 '가상자산보호법'에 의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고객 에치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합니다. 암호화폐를 매수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은행을 통해 원화를 가상자산 거래소로 입금합
smartjj.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주 경제지표 및 주요일정 : 7월29일 (월)~8월2일 (금) (0) | 2024.07.29 |
---|---|
17억 아파트 상속세 0원? 2024 세법개정안 내용 (0) | 2024.07.28 |
퇴직 연금 - 숨은 퇴직연금 조회, 신청하기 (0) | 2024.07.22 |
이번 주 증시, 암호화폐 주요 일정 (7월 셋째주, 7월 15일~7월 19일) (0) | 2024.07.15 |
2024 재산세 납부 - 카드 결제 혜택 (9월 재산세 적용) (0)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