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99 1달러가 1400원? 환율이 너무 높아요 조금 전 달러 환율을 조회해 보니 1378.27원이 나옵니다. 며칠 전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에 있었던, 현재도 진행 중인 지정학적 리스크에 의해 1400원이 넘었을 때를 생각하면 다행이다 싶습니다. 그러나 환율이 1100원 미만이었을 때가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헉하고 숨이 막힐 정도로 높은 수준입니다. 저도 주기적으로 달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항상 달러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이글에서 원달러 환율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원ᆞ달러 환율환율은 서로 다른 화폐 간 교환 비율로써, 두 나라 화폐의 상대적 가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원ᆞ달러 환율은 원화와 달러의 교환 비율을 나타내는 것, 즉 1달러를 사기 위해서 필요한 원화가 얼마인지 나타냅니다. 원ᆞ달러 환율은 우리가 달러를 살 때만 문제.. 2024. 4. 23. ETF란, 장점과 유형 1. ETF(Exchange Traded Fund)ETF란 상장지수펀드를 의미하며 주가지수나 채권가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하여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를 말합니다. 인덱스 펀드와 비슷하지만, 인덱스 펀드는 자산운용사와 은행을 통해서만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주식, 채권 등 여러 자산 형태를 모아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고성장 가능성을 보고 개별 기술주 기업들에 직접 투자하거나, 주식 가치에 더해 배당을 위해 배당주 기업들에 직접 투자하기도 하고, 또는 기업의 가치를 보고 해당 주식에 장기간 직접 투자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보조적으로 ETF에 투자하거나, 은퇴 자금이라는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혹은 특정 산업 분야에 투자하고 싶지만 어떤 .. 2024. 4. 14.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정부는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재정정책을 통해서도 거시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재정정책(fiscal policy)이란 정부지출과 조세의 전반적인 수준에 관한 정부의 결정을 말하며, 이들 정책은 장기적으로 저축과 투자,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단기에는 주로 재화와 서비스의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정부구입의 변동정부가 통화량을 조절하거나 조세수준을 변동시키면 기업과 가계의 지출이 영향을 받아 총수요곡선이 이동합니다. 또 정부가 재화와 서비스 구입을 위한 지출을 변동시키면 총수요곡선이 직접적으로 이동합니다. 그렇다면 국방부가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사에 200억 달러 상당의 전투기 구입을 발주하면 총수요 곡선은 얼마나 이동할까요? 정확히 200억 달러만큼 이동할 수도 있지만 승수효과와 밀어내기 .. 2024. 4. 5. 통화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재정정책이나 통화정책은 단기적으로 산출량과 물가의 변동을 가져오기 때문에 한 가지 정책이 변할 경우 그 효과를 예측하여 나머지 다른 정책을 통해 이에 대응하려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 수단들이 총수요곡선의 위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자산효과, 이자율효과, 환율효과에 의해 총수요곡선은 우하향하지만 세 가지 효과의 중요성은 다르며, 미국의 경우 이자율효과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동성 선호이론‘고용과 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 이론’에서 케인즈는 한 경제의 이자율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유동성 선호이론(theory of liquidity preference)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이론에서는 이자율, 즉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모.. 2024. 4. 4.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