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99 CPI와 PCE, 두 개의 물가지수 무엇이 다른가요? 비슷해 보이는 두 물가지수 CPI와 PCE는 무엇이 다를까요? 오늘은 이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CPI는 각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하는 통계입니다. 대표적인 소비자가 어떤 물건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판단하여 물가지수에 포함되는 품목, 즉 재화 묶음을 결정한 후 가격을 조사합니다. 그리고 기준 연도를 선정하고 물가지수를 계산하고 인플레이션율을 계산합니다. 또 단기간 가격 변동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물가지수도 작성하는데 이를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라고 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각 가구의 소비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통계를 기초로 .. 2024. 5. 16. 환율의 변동과 외국인 투자 관계 외국인 증권 투자 현황한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이 투자하는 비율은 2024년 3월 말 기준으로 30.54%, 약816조 원에 달합니다. 자금 규모가 아주 크고 대형주와 핵심 산업군에 대량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외국인들의 투자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흔히 개미라고 불리는 우리 개인 투자자들이 매수 및 매도할 때 기관과 함께 외국인들의 동향을 살피는 것은 중요합니다.환율과 외국인 투자외국인들이 우리나라 주식에 투자할 때 환율은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나라의 주식에 투자할 때 큰 금액으로 그 나라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일반인이기보다는 전문적인 투자자일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은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경제 변수들,.. 2024. 5. 4. 72법칙이란? 복리의 힘 72법칙이란?“여덟 번째 세계 불가사의는 바로 복리이다. 복리를 이해하는 자는 돈을 벌고 그렇지 못하는 자는 지불하게 될 것이다.”세계적인 천재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했다고 전해지는 명언입니다. 아인슈타인이 했는지 증명되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 이야기를 누가 했는지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강력한 복리의 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법칙과 이자율72법칙은 복리의 이율로 어떤 자산의 가치가 2배로 증가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간단히 구할 수 있는 마법의 법칙입니다. 72를 정해진 이율로 나누어 나온 몫이 원금이 2배가 되는데 필요한 햇수(연 단위 기간)가 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연 6%의 이율로 100만원을 저축하였을 때 그 두배인 200만원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72/6=12이.. 2024. 5. 2. 서프라이즈 인덱스란? 주가, 10년물 국채와의 관계 우리는 현재의 경제 상황을 알기 위해 국가와 기업의 성장과 개별 실적 등을 찾아봅니다. 이때 우리가 참고하는 것이 다양한 경제 지표와 금융 지표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매달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나 생산자물가지수(PPI), 개인소비지출(PCE), 소매판매지수(RSI), 실업률 그리고 분기별 발표되는 국내총생산(GDP) 등의 다양한 지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투자자라면 꼭 중요하게 관심을 갖고 보아야 하는 서프라이즈 인덱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프라이즈 인덱스란?시티그룹에서 발표하는 서프라이즈 인덱스(Citygroup Economic Surprise Index, 시티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경기 선행 지표로 각종 경제 데이터의 실제 값과 컨센서스 예측치의 차이를 합산.. 2024. 4. 2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