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쟁시장과 한계비용곡선

by smartJJ 2024. 4. 1.

제가 사는 동네에는 맛있는 빵을 파는 베이커리가 여러 곳 있습니다. 제품별로 조금씩 가격의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비슷한 가격에 비슷한 제품들을 팝니다. 그런데 자주 가던 A베이커리에서 최근 모든 제품의 가격을 10%씩 올렸고 그 이후로 빵이 먹고 싶을 때면 A베이커리 대신 B베이커리로 갑니다. 

 

만약 동네에 베이커리가 한 곳만 있었다면 가격인상 후 초기에는 빵 먹는 양을 조금 줄일 수는 있지만 곧 10% 인상된 가격에 적응하고 다시 그 베이커리에서 빵을 구매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베이커리가 여러 곳이라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주민들은 비슷한 제품에 더 싼 가격에 빵을 살 수 있는 베이커리를 찾을 것이고 A베이커리의 매출은 감소할 것이며 이것이 바로 경쟁시장의 기본 행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쟁시장

  •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하여 개별 수요자나 공급자는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공급자들이 공급하는 물건이 거의 동일하다.
  • 기업들이 자유롭게 진입하고 퇴출할 수 있다.

 

 

 

위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시장을 경쟁시장(competitive market) 또는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합니다. 경쟁시장의 기업들이 어떻게 이윤을 극대화하는지 우유를 생산하는 농장의 예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경쟁시장-우유시장
경쟁시장의 (예) 우유시장

  • 총수입(total revenue) = 생산량 Ⅹ 시장가격
  • 평균수입(average revenue) = 총수입 / 생산량 = 시장가격
  •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 한 단위를 추가 판매함으로써 발생하는 총수입의 변화 = 시장가격

      따라서, 평균수입 = 시장가격 = 한계수입 이 됩니다.

 

표의 제4열에서 농장이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으면 고정비용만큼 $3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우유의 양을 조금씩 늘려 생산할수록 이윤은 늘어나지만 4갤런 혹은 5갤런이 되면 7달러로 이윤이 극대화된 이후에는 양이 더 늘어날수록 이윤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유 1갤런씩 늘어날 때마다 증가하는 한계수입은 고정적으로 $6인데 한계비용은 지속해서 증가하므로 한계비용이 $6보다 크게 되면 그 차이만큼 이윤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농장은 5갤런 이상의 우유를 생산하지 않을 것입니다.

 

 

한계비용곡선과 공급량의 결정

 

그래프(a)의 비용곡선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보셨듯이 한계비용곡선(MC)은 우상향 하고 평균총비용(ATC) U자형이며, 한계비용곡선은 평균총비용 곡선의 최저점을 지나고 시장가격(P)은 수평인 직선으로 표현됩니다.

 

경쟁시장 기업의 이윤 극대화
경쟁시장 기업의 이윤 극대화

 

위 그래프에서 이윤 극대화 생산량을 알 수 있습니다.

  •  한계수입이 한계비용보다 크면 이 기업은 생산량을 늘려야 합니다.
  •  한계수입이 한계비용보다 작으면 이 기업은 생산량을 줄여야 합니다.
  •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에서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합니다.

 

단기 조업 중단 조건

 

앞에서 우리는 경쟁시장의 기업이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경우에 따라서 기업들은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생산을 중단하는 것을 조업중단(shutdown)이라 하고 아예 시장을 떠나는 장기적인 생산중단을 퇴출(exit)이라고 합니다.

 

단기적인 조업중단 시 가변비용은 부담하지 않지만 여전히 고정비용은 부담해야 하며 퇴출하는 기업은 가변비용과 고정비용 모두 부담하지 않게 됩니다. 우유 농장의 경우를 보면 농장임대료는 고정비용 중 하나이며 생산을 멈추어도 이 비용은 계속 지출됩니다. 이러한 고정비용을 매몰비용(sunk cost)이라고 합니다. 

 

 

 

 

조업을 중단하면 기업은 모든 수입을 잃게 되지만 동시에 가변비용도 지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총수입이 가변비용보다 작을 때 단기적으로 조업을 중단합니다. 총수입과 가변비용을 각각 생산량으로 나누면 평균수입(또는 가격)과 평균가변비용이 되므로, 재화의 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작으면 조업을 중단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위 그래프 (a)에서 시장가격 직선이 Pshutdown 가격선 밑으로 내려오면 단기 조업중단이 되는 것이 유리합니다. 조업을 중단하면 고정비용은 계속 지불되므로 이 기업은 손실을 보지만 조업을 지속하면 더 큰 손실을 보기 때문입니다. 

 

장기 진입 및 퇴출 조건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할지 결정하는 것도 단기 조업 중단 결정과 비슷합니다. 기업의 총수입이 총비용보다 작으면 시장에서 퇴출하게 됩니다. 총수입과 총비용을 각각 생산량으로 나누면 평균수입(또는 가격)과 평균총비용이 되므로, 재화의 가격이 평균총비용보다 낮으면 퇴출합니다. 역시 위 그래프 (a)에서 시장가격 직선이 Pexit 가격선 밑으로 내려오면 퇴출하거나 혹은 시장 진입을 포기하게 됩니다. 

 

그래프로 나타낸 이윤

이윤은 총수입에서 총비용을 뺀 것이어서 다음의 그래프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총수입은 생산량과 가격의 곱이고 총비용은 생산량과 평균총비용의 곱이므로 그 차이는 연두색 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기업 이윤
기업 이윤

그러나 총수입보다 총비용이 크다면 손실로 나타나게 됩니다.

기업 손실
기업 손실

 

지금까지 경쟁시장에 있는 기업에 대해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요약해보자면 기업들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규칙을 따릅니다.

 

  •    P = MC (즉, 가격 = 한계비용) 일 때의 생산량을 찾아야 합니다.
  •    P < AVC (즉, 가격 < 평균가변비용)일 때 즉시 조업을 중단합니다.
  •    AVC < P < ATC (즉, 평균가변비용 < 가격 < 평균총비용) 일 때 단기적으로 조업을 지속하되 장기적으로는 폐업합니다.
  •    ATC < P (즉, 평균총비용 < 가격)일 때 사업을 지속하면서 이윤을 냅니다.

 

이전 글 : [경제] 기업의 의사결정과 생산비용

다음 글 : [경제] 독점기업의 생산과 가격결정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점의 비효율성과 가격차별  (0) 2024.04.01
독점기업의 생산과 가격결정  (0) 2024.04.01
기업의 의사결정과 생산비용  (0) 2024.04.01
공공재와 공공자원  (0) 2024.04.01
외부효과에 대한 사적해결책  (1)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