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경제

장기와 단기 총공급곡선

by smartJJ 2024. 4. 4.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총공급곡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총공급곡선은 주어진 물가수준에서 한 경제의 모든 기업이 생산 및 판매하려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말합니다. 총수요곡선은 항상 우하향하지만, 총공급곡선은 분석 기간이 장기인지 단기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총공급곡선은 장기에는 수직이고 단기에는 우상향하는데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장기 총공급곡선

1. 장기 총공급곡선이 수직인 이유

장기적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량(실질 GDP)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전에 보았듯이 그 경제가 보유한 노동, 자본, 자연자원의 양과 이러한 생산요소들을 재화와 서비스로 변환하는 기술에 따라 좌우됩니다. 따라서 통화량에 의해 결정되는 물가 수준은 장기 실질 GDP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고전학파의 이분법과 화폐의 중립성) 장기 총공급곡선은 그래프에서 수직으로 표현됩니다.

장기 총공급곡선
장기 총공급곡선

 

2. 장기 총공급곡선이 이동하는 이유

장기 생산량 수준은 잠재산출량(potential output) 혹은 완전고용 산출량(full-employment output)이라 합니다. 또 이 산출량이 자연실업률에 있을 때의 산출량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연산출량(natural rate of output)이라 하겠습니다. 따라서 자연산출량이 변하면 장기 총공급곡선이 이동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동 부문의 변동: 실직 근로자들을 위한 성공적인 직무 훈련 프로그램을 입안하여 자연실업률이 하락하거나 이민자가 증가하여 노동인구가 증가하면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이 늘고 장기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반대로 실업보험이 관대하여 실직 근로자들이 구직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거나 이 나라의 노동자가 해외로 빠져나간다면 장기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자본 부문의 변동: 경제의 자본량(물적자본와 인적자본)이 증가하면 생산성이 높아져 생산량이 증가하고 장기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반면에 경제의 자본량이 감소하면 생산성이 낮아지고 생산량이 감소하여 장기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자연자원의 변동: 한 나라의 산출량은 토지, 광물, 기후 등 자연자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아 새로운 광물이 발견되면 장기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기후가 바뀌어 농사짓기 어려워지면 장기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기술지식의 변동: 기술이 진보하거나 기술진보와 같은 효과를 내는 사건이 발생하면 장기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반대로 정부가 어떤 생산 방법이 노동자들에게 너무 위험하거나 환경에 해롭다는 이유로 규제한다면 장기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3.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을 사용하여 거시경제의 장기추세를 살펴보면, 이 두 곡선의 이동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기술진보와 통화정책입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로 기술 진보로 인해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생산 능력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장기 총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동시에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총수요곡선도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이에 따라 산출량이 증가하고 물가 수준이 상승 상승하게 됩니다.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총수요 총공급 모형을 통해 본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단기 총공급곡선

1. 단기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

장기에는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생산 능력에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단기에는 영향을 미칩니다.  1~2년의 단기에는 물가 수준이 상승하면 경제의 산출량이 늘고, 물가 수준이 하락하면 산출량이 줄어들게 되어 단기 총공급곡선은 우상향합니다. 이렇게 단기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세 가지 이론을 알아보겠습니다.

 

임금 경직성 이론: 물가 수준이 예상보다 낮으면 실질 임금이 상승하여 기업들이 고용을 감축하고,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가격 경직성 이론: 물가 수준이 예상보다 낮으면 일부 기업의 가격이 바람직한 수준보다 높아 판매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생산을 줄이게 됩니다.

 

착각 이론: 물가 수준이 예상보다 낮으면 일부 공급자들은 자신의 상대가격이 하락했다고 생각하여 생산을 줄이게 됩니다.

세 가지 이론의 차이점보다는 실제 물가가 사람들이 예상한 수준과 다르면 단기산출량이 자연산출량과 달라진다는 공통점이 중요하며 산출물의 공급량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산출물의 공급량 = 자연산출량 + a(실제 물가 수준 - 예상 물가 수준)
a: 산출량이 예상하지 못한 물가 수준 변동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는 숫자

 

 

 

 

세 가지이론 모두 일시적인 상황을 이야기하며 단기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가 어떤 것이든 영원히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2. 단기 총공급곡선이 이동하는 이유

노동의 변동: 자연 실업률의 하락 등으로 노동인구가 증가하면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자연 실업률의 상승 등으로 노동인구가 감소하면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자본의 변동: 물적자본이나 인적자본이 증가하면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물적자본이나 인적자본이 감소하면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자연자원의 변동: 가용 자연자원이 증가하면 총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가용 자연자원이 감소하면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기술지식의 변동: 기술 진보가 일어나면 총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정부의 규제 등으로 가용 기술에 제약이 가해지면 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예상 물가 수준의 변동: 예상 물가 수준이 하락하면 단기 총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예상 물가 수준이 상승하면 단기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이전 글 : [경제]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총수요곡선

다음 글 : [경제] 경기변동의 원인-총수요와 총공급의 변동 효과

반응형